본문 바로가기
정보

왜 직장인은 마이너스 인생일까요?

by 300년전 2020. 12. 23.
728x90

왜 직장인은 마이너스 인생일까요?

 

 

 


누구나 경제적 자유를 이루어 내가 하고 싶은 일만 하고 싶은 것이 모든 사람들의 바램일 거에요. 하지만 마땅한 대안이 없다고 생각하니 어쩔 수 없이 직장에 다니는 분들이 대부분이죠.

그런데 놀라운 것은 "부자"가 되는 방법, 즉 경제적 자유를 얻는 방법은 많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내 주변에 있는 대부분은 경제적 자유를 이루지 못한 사람이 다수죠.

왜 그렇다면 우리는 직장에서 열심히 일하는데 마이너스 인생이 되는 것일까요? 이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수입과 지출 비용을 고려해봐야 합니다. 당연히 수입이 지출보다 많다면 +가 되고, 그렇지 않다면 - 가 되겠죠. 부자가 되려면 +가 되는 인생을 살아야 합니다.

 


직장인의 수입과 변화 추이

 


우선 수입의 추이를 봅시다. 20대에 첫 취업을 하면서 월급을 받기 시작하는데, 나이가 들어가면서 경력도 쌓이고 부업도 하면서 소득이 점차 늘게 됩니다. 중간에 이직도 하면서 소득수준은 계속 향상됩니다.  그러다가 40대 중후반, 늦으면 50대 중후반이 되면서 점차 소득이 감소하게 됩니다. 요즘에는 임금피크제 등을 도입하면서 정년을 보장해주는 대신 급여를 조금씩 삭감해나가는 제도도 있죠.

물론 은퇴 후 자영업에 도전하여 성공하는 경우도 드물게 있지만 대부분은 자영업을 하더라도 오래 가지 못합니다. 60대가 넘어가면 대부분 경제활동을 하기 어렵고, 들어오는 소득이라면 국민연금이나 내가 젊은 시절 들어놨던 개인연금 등으로 생활을 유지해야 할 겁니다. 이렇게 수입의 추이는 점진적으로 상승했다가 나이를 먹으면서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직장인의 지출 변화 추이

 


이번엔 지출 곡선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지출 역시 취업을 하면서 조금씩 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첫 취업 직후 독립을 하거나 애인이 있다면 지출은 급격하게 늘어납니다. 

30대를 넘어서면서 점차 결혼을 하는 분들이 많고, 이 때 내 집마련을 위해 그동안 모아놓았던 돈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배우자가 생겼기 때문에 소득은 2배가 되겠지만 가정을 유지하고 아이를 낳아 키우게 되면 지출은 2배 이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지출은 줄지 않습니다. 소득은 40대 중후반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반면 아이가 고등학교, 대학에 가면서, 그리고 결혼을 하면서 지출은 정점을 찍게 됩니다. 그래서 40대 중후반에 소득이 충분하지 않으면 오히려 마이너스가 되는 것이죠.

 


그렇다면 한정된 소득을 벌충할 방법은?

 


직장인의 현실에서는 재테크에 성공하는 것이 소득을 벌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수단입니다. 그런 점에서 요즘 "최경자:최소한의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한 공식"이 있다고 합니다.

사람 이름같기도 한데요, 이 공식은 덧셈, 뺄셈만 가능해도 쉽게 이해를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공식을 통해 +로 살게 되면 돈의 걱정으로부터 조금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사실 15년전 과거만 하더라도 재테크에 성공하는 것이 지금보다 쉬웠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강남에 있는 부동산을 매입하거나 삼성전자만 꾸준히 매입했더라도 지금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죠. 실제로 삼성전자를 꾸준히 매수해 장기보유하여 경제적 자유를 달성한 분도 계셔서 최근 화제가 되었었죠.

이렇게 직장인의 수입과 지출, 소득 창출 방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는데요, 정확한 수입, 지출 계획과 재테크 전략 수립하셔서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는 사람 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