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기 위한 첫번째 조건

우리는 돈을 벌때 번 돈을 한꺼번에 다 쓰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내가 지금 벌고 있는 소득을 평생 벌 것이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꼭 이런 이유가 아니더라도 목돈을 모으려면 반드시 "저축"이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즉, 재테크를 하던 무엇을 하던 자본주의 사회에서 많은 돈을 모으고 벌기 위한 1조건은 바로 "저축"이라는 것입니다.
저축을 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나요?
마이너스가 난 소득을 메꾸려면 결국 대출을 이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당장 부족한 소득을 대출로 메꾸게 되면 대출 원리금을 갚아야 할 뿐만 아니라 노후 준비까지 제대로 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가계부채 수준을 살펴보면 가구당 평균 1억원의 부채를 안고 있다고 합니다.
1억은 매우 큰 돈입니다. 금리를 3%만 잡아도 3백만원이고, 월로 환산해도 20~30만원이 되는 돈입니다. 매달 이정도의 돈이 지출된다면 돈을 저축할 수 있을까요? 즉, 쳇바퀴 인생이 계속될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삶이 갈수록 힘들어지는 것이죠.
꾸준한 자기계발이 필요하다.
위 이야기처럼 결코 마이너스 인생을 살지 않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자기계발을 통해서 몸값을 높이거나 부업이나 창업을 통해 소득을 드라마틱하게 늘릴 수도 있는 것입니다. 자기계발을 하는 당시에는 고통스럽고 답답하기도 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좀 더 남들보다 빠르게 자유로 다가감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절약을 터부시하는 문화
위에서 수차례 절약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절약"이라는 이야기를 하면 거부감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정 절약이 필요한데도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며 절약보다는 소비를 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돈을 아끼려고 밥 대신 라면을 먹거나 택시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을 터부시하죠.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분들이 승자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도 왜 이렇게 절약을 터부시하는 문화가 생겼는지 곰곰히 생각해보니 소비를 유도하는 미디어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합니다. 한푸 두푼 아껴가며 알뜰살뜰 사는 사람들을 짠돌이라고 만들고, 돈을 팍팍 쓰는 사람을 털털하고 좋은 사람이라는 이미지로 만들어버린 것이죠.
자본주의를 제대로 이해한 사람
이렇게 미디어에서 만든 이미지와는 다르게 절약을 잘 하고 돈을 잘 모으는 사람은 자본주의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즉, 돈이 모였을 때 얼마나 큰 위력을 발휘하는지 잘 알기 때문에 저축을 해 나간다는 것입니다.
자본주의는 곧 돈의 크기가 힘을 결정합니다. 돈이 시중에 많이 유통될수록 경제는 활성화가 됩니다. 이것을 조금 더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내가 회사에서 일하며 받는 월급이 늘어난다면 내가 좀 더 여유가 생겼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고, 소비를 늘릴 수 있습니다. 나의 소비는 누군가의 소득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타인의 소득이 늘어나고 그 늘어난 소득이 또다시 소비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렇듯 돈이 돌면서 부가가치가 생기게 되죠.
재테크나 투자도 마찬가지입니다. 돈의 크기가 클수록 작은 수익률에도 큰 수익금을 거둬들일 수 있는 것이죠.
부채와 자산을 나누어봐라!
기업은 매분기별 매출과 수익, 자산 현황을 공시합니다. 개인도 마찬가지로 자산과 부채 현황을 체크해볼 수 있습니다. 현금자산, 부동산, 회원권 등 내가 가지고 있는 자산의 종류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하나의 표에 정리해보고, 현재 내가 보유한 부채 내역도 정리해보시기 바랍니다. 정리 후 총 자산에서 총 부채를 차감했을 때 +가 나온다면 경제적자유를 얻기 위한 최소한은 지킨 것입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라면 이 음식은 반드시 먹어야 한다 (0) | 2020.12.25 |
---|---|
왜 직장인은 마이너스 인생일까요? (0) | 2020.12.23 |
심장이 갑자기 두근거리는 이 질병은? (0) | 2020.12.23 |
건강에 좋은 음식 10선 (0) | 2020.12.22 |
무료건강검진 꼭 챙겨야 할 것은? (0) | 2020.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