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LS산전은 어떤 자소서 항목을 가지고 있을까요?

by 300년전 2020. 12. 20.
728x90

LS산전은 어떤 자소서 항목을 가지고 있을까요?

 

이번 칼럼에서는 LS산전 채용 시 출제되었던 한 문항을 가지고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문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눈에 봐도 굉장히 어렵다는 느낌을 받을 것 같습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개념도 생소한데, 내가 지원하는 분야에 대해서 향후 변화 전망을 해보라고 하니 어려울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사실 현직자에게 이런 질문을 하더라도 쉽게 답을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우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원 그대로의 뜻을 빌리자면 디지털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좀 더 확장하면 모든 기업의 시스템이 전산화되는 것을 말합니다. 즉, 그동안에는 사람이 직접 보고, 관리하던 것을 어떤 자동화시스템이나 프로그램에 의존하면서 자동으로 운영되는 것을 의미하죠. 기업들은 그렇다면 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왜 추진하는 것일까요?

 

바로 비용절감을 통한 수익극대화 및 생산성 증대가 그 예입니다. 다른 칼럼에서도 언급을 했듯이 기업이란 존재는 수익이라는 목적이 1순위인 집단입니다. 시스템을 통한 경영관리가 정착된다면 사람이 하는 것보다 정확성도 늘어나고, 복지혜택도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은 최소화하고 수익은 극대화하겠다는 기업의 어젠다와 부합하는 것입니다.

 

 

LS산전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 어떤 활동을 하고 있을까요?

 

1.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어젠다와 같이 생산시설의 모든 시스템을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입니다. 현재 청주1공장은 이미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하여 비용절감에 혁혁한 공을 세우고 있는데, 그에 반해 근무 인원은 1/8수준으로 축소된 상황입니다.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한 후 공정 시간과 불량률이 현저히 감소하면서 생산성이 빠르게 높아졌음을 증명하였습니다. 

 

2. 솔루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동안 LS산전은 제조업체로서 자리매김해 왔습니다. 다양한 전기설비를 제조해 납품하는 것이 본 사업의 모델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런 사업 모델만으로는 더이상 성장이 어렵다고 판단했고, EMS(에너지관리시스템)을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각 주체별 전력 사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제 "시스템을 관리하는 직무" 가 사람이 하는 주된 업무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구매, 품질 등의 직무는 다른 형태로 변화하거나 사라질 것입니다. 한편으로는 실업자가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시스템을 관리하는 직무에는 기본적으로 사람이 많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을 고안하고 설계하는 직원이 아니라면 쉽사리 회사에서 쫒겨날 가능성도 높아지겠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