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자사주 매입 공시, 좋은 걸까?

by 300년전 2021. 2. 24.
728x90

실적이 우량한 기업에 투자를 하다보면 종종 자사주를 매입하는 계약을 증권사와 체결했다는 소식을 듣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이 자사주 매입 공시는 어떤 영향을 줄지 한 번 생각해봅시다. 2011년 모바일리더라는 종목은 상장 직후 자사주를 매입하겠다는 공시를 발표합니다. 규모도 시가총액 대비 약 4%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결코 적은 수준이 아닌데요, 아니나다를까 해당 공시가 나온 후 주가가 올랐습니다. 하지만 얼마 못가 주가는 비실비실해졌죠. 

 

주주가치 제고 명분으로 나오는 이 자사주 매입공시는 사실 주가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주가가 장기적으로 하락할 때 이를 조금이나마 막기 위한 경우도 상당한데요, 자사주 매입이라는 것이 실질적으로 기업가치를 증가시키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회사가 가지고 있는 유보금을 통해서 주식을 매입한 것이기 때문에, 회사의 잠재 투자 능력이 감소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즉, 조삼모사인 셈이죠.

 

 

 

 

그렇다면 회사는 자사주를 무한정으로 사들일 수 있을까?

 

 

사실 회사가 자기 회사의 주식을 사들인다는 것 자체가 모순입니다. 주식의 발행 목적은 자금 조달 및 소유과 경영의 분리 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본 같은 경우에도 자사주 매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법률에는 상장기업에 한해서 경영권 보장 등의 이유로 자사주 매입이 허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부채를 일으켜 자사주를 사는 것은 도덕적 해이에 해당하므로 불가능하고, 반드시 자기자금으로 매입해야 합니다.  좀 더 엄격하게 이야기하면 배당 가능한 이익 한도 내에서 매입을 할 수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과 주가와의 관계

 

 

자사주 매입이 호재로도 작용할수는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사업 안정성이 확보되고, 미래 전망이 밝은 경우에 한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미래 사업도 잘 될 것이라고 예측이 되는데,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서도 회사가 많이 노력한다는 모습을 주주들에게 보임으로써 신뢰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사주는 매입 후 일정기간동안에는 처분이 금지되기 때문에, 주식시장에서의 물량 부담이 줄어든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을 통해 작전을 할 수 있는가?

 

 

간혹 투자자 중에는 회사가 주가 조작세력과 짜고 작전을 할 수 있지 않느냐고 궁금해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사주를 가지고 작전을 하는 것은 사실 어렵습니다. 자사주는 매입 과정부터, 매매 수량, 매매 가격 등이 모두 규정되어 있고 공시를 해야 하기 때문이죠. 하루에 매입할 수 있는 분량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실상 어렵다고 봐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자사주 매입은 동전의 양면처럼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 주의해 주셔야 합니다. 회사가 가지고 있는 여유자금을 자사주 매입에 쓴다는 의미는 회사가 여유자금을 운용할 사업이나 투자처를 찾지 못했다는 의미이므로, 수익성(ROE 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일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