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를 하게 되면 종종 액면분할을 실시한다는 소식을 듣게 됩니다. 액면 분할이란 주식의 액면가를 분할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액면분할을 실시하게 되면 주식 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액면가가 5,000원이었는데 이를 500원으로 분할하게 되면 주식 수는 10배가 되는 것이죠. 액면가는 주식을 발행할 당시 주식 액면에 적혀있는 금액을 말합니다.
회사 운영이 원활하여 수익이 증가한다면 해당 주식의 가치는 높아질 것이므로 주식시장에서는 액면가로 거래가 되지 않는 것입니다. 최근에도 삼성전자가 액면분할을 실시해 약 200만원에 육박하던 주가가 5만원 선으로 낮아졌고, 주가상승으로 현재는 8만원 선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액면분할의 효과는 무엇일까요?
액면분할을 하면 주가가 싸진 것과 같은 착시현상이 듭니다. 그래서 신규 주주가 유입될 확률이 더 크다는 것이죠. 소액주주들은 자신들의 투자금이 많지 않기 때문에 주가가 100만원이 넘어가면 매수를 꺼려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주가가 5만원 수준으로 낮아지면 자신도 주식을 많이 매입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투자에 적극적이게 되죠. 그래서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우량 기업들이 많이 포진해있는 코스피 시장의 경우 액면가는 보통 5,000원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액면 금액은 다양한데요, 2,500원부터 1,000원, 500원, 100원 등이 있습니다. 반면 중소, 벤처기업 위주의 시장인 코스닥시장에는 액면 금액이 500원인 주식이 대부분입니다.
액면 분할된 주식을 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회사 재무제표도 살펴봤는데, 매년 이익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주가도 심지어 수 천원 대인 종목을 보고 성급하게 굉장히 저렴한 종목이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액면분할의 착시효과에 지나지 않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액면분할을 실시하면 주식 수가 늘어난다고 했습니다. 즉, 기업가치에는 변동이 없는 것이죠. 따라서 주식수가 많으면 당연히 주가는 낮게 보일 뿐입니다.
따라서, 투자 전 시가총액을 비교해보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이 회사의 시가총액이 동종업계 상장사와 비교했을 때 어떤 수준인지 판단해 봐야 한다는 것이죠.
액면분할을 실시하려면 다양한 의결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요, 구주권 제출 전일부터 신주권 상장 전날까지 매매거래가 정지되기 때문에 혹 매매가 갑자기 정지되더라도 놀랄 필요는 없습니다. 요즘에는 투자자들도 액면분할의 착시효과를 잘 알고 있는 탓에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는 적어지고 있습니다.
오히려 액면분할 결정 공시가 나온 후 실제 액면 분할이 실시되는 날까지는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도 많으니까 액면분할 공시가 나왔다고 해서 즉시 매매에 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매매방법일 수 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린이가 부동산에 접근하는 방법 (2) | 2021.02.25 |
---|---|
자사주 매입 공시, 좋은 걸까? (0) | 2021.02.24 |
선물과 옵션 거래에 대해서 (0) | 2021.02.22 |
패시브인컴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02.21 |
지분경매란 무엇인가? (0) | 2021.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