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구매직무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

by 300년전 2020. 12. 13.
728x90

안녕하세요? 이번 칼럼에서는 구매직무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저도 사실 취업준비를 하면서 구매직무에 지원을 했는데요, 현대차 그룹사 3곳에서 모두 합격통지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구매" 라는 직무를 처음들었을 때 많은 취준생 분들이 무언가를 사는 것을 생각할 것입니다. 우리도 사실 "구매" 활동을 많이 하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회사의 "구매직무"를 파악하기에는 부족합니다. 우리가 "구매"활동을 할 때는 내가 필요한 물품과 수량에 대해서만 구매를 합니다. 필요하지도 않은데 통조림을 100개씩 쟁여놓을 필요는 없는 것이죠. 그렇지만 회사는 다릅니다. 우선 생산하는 제품이 대량이기 때문에, 필요한 자재도 대량으로 들여와야 합니다. 대량으로 들여오게 되면 소량만 구매해서 사용할 때와는 다르게 운송방법과 보관방법 등 다양한 이슈가 발생합니다. 또, 구체적인 계획 하에 자재를 구매 해 들여와야 불필요한 공간낭비 등 자원 낭비 없이 자재를 소비할 수 있겠죠. 그렇다면 어떤 이슈들이 주로 발생할까요?

 

 

1. 좀 더 싸게 들여올 수 있는 업체 찾기

 

우리도 구매를 할 때 비싼 물건의 경우 어디에서 사는 것이 더 쌀지 비교를 해가며 구매결정을 하죠. 회사도 비슷합니다. 좀 더 저렴한 비용으로 자재를 들여올 수 있는 업체를 찾습니다. 회사는 대량구매를 위해 입찰공고를 내는데요, 입찰에 참여한 업체들 중 저렴하게 자재를 납품해줄 수 있는 업체가 선정될 것입니다. 또, 단지 저렴하게 들여올 수 있는 지 여부만 이슈가 아닙니다. 납기를 잘 지키는지, 자재의 품질은 어떠한지도 구매업체로서의 자질을 체크해야 할 것입니다. 또, AS가 발생했을 때 즉시 대응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업체를 선별해야 하겠죠.

 

2. 타 부서와의 스케쥴 체크 필수

 

구매 부서는 타 부서에서 필요한 자재들을 들여오기 위해 해당 부서의 생산일정 등을 체크해야 합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업무 진행 계획을 원활하게 공유해야 합니다. 즉, 타 부서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하겠죠. 만약 잘못된 자재와 수량을 공급한다면 일정이 딜레이 되는 것은 불가피합니다.

 

3. 효율적인 재고관리

 

과잉재고는 곧 회사의 손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재에 먼지가 쌓이거나 녹이 스는 경우라면 제품을 만들기도 전에 폐기처분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가장 이상적인 것은 자재 보관일수를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려면 커뮤니케이션도 원활해야 합니다. 갑작스런 제품 생산 일정에 차질이 생기거나 공급업체에서 일정변경이 있는 경우 신속하게 대처하는 능력도 중요하죠.

 

이렇게 구매직무에 대해서와 필요한 능력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준비 잘 하셔서 훌륭한 구매인이 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