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주식 정보

주식 눌림목 매매 뜻 20일선 이평선 보기 + 실패이유

by 300년전 2024. 2. 26.
728x90

 


초보투자자 분들이 급등주 매매를 즐겨하는데요, 대부분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에 관심이 많습니다. 하지만 상한가를 달성하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기 때문에 손실을 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반면 정말 고수들은 눌림목을 이용해서 매매를 하는데, 훨씬 더 승률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시간에는 눌림목 뜻은 무엇이고, 어떤 방법으로 매매를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합니다. 

눌림목이란?

눌림목이란 용어 자체에서 나오는 의미처럼 주가가 상승하다가 일정 지점에서 살짝 조정을 받는 구간을 말합니다. 주가가 오르게 되면 차익실현 욕구가 커지면서 일시적으로 매수세를 압도하는 것입니다. 

 

 

 

 

20일 이동평균선과의 관계

보통 주가가 급등을 하게되면 5일선이 고개를 들며 상승하며 20일선이 뒤따라 가게 됩니다. 20일 선은 1개월간의 주가 추이를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해서 단기 스윙투자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이동평균선입니다. 

주가가 상승하다가 이동평균선과의 괴리가 커지면 다시 주가는 이평선 근처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20일선의 지지를 받느냐, 받지 못하느냐가 중요합니다. 20일선 근처에서 2~3일동안 지지를 받는다면 재차 2차적인 상승 파동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분할매수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눌림목 매매 시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까?

특정한 매수시점

눌림목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주가가 오를때만 적용이 되는 부분입니다. 주가가 하락하는 가운데 일시적 반등 지점을 눌림목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또한 주가가 횡보하다가 일시적으로 상승했고, 다시 원상태의 주가로 돌아오는 것 역시 눌림목으로 볼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눌림목 구간의 주가는 1차 파동이 나오기 전 주가에 비해 높아야 합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그 주가는 추세가 깨졌다는 의미이므로 눌림목 매매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성급하게 매수하지 말것

눌림목에서 2~3일 횡보하고 바로 재차 급등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1~2주 넘게 횡보하다가 다시 급락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잠깐의 추이만 보고 매수하기보다는 주가가 반락하면서 이평선 근처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주는지 확인한 후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거래량이 상장주식수 대비 충분한지도 살펴보아야 합니다. 거래량이 많지 않다면 20일 이동평균선 근처에서 지지를 받으면서 횡보하는 것 같으면서도, 어느순간 급락을 할 가능성이 비교적 큽니다. 

 

일봉과 주봉, 월봉을 같이볼것

일봉상으로는 눌림목인 것 같지만, 주봉/월봉 상으로 20봉 이동평균선의 저항에 부딪히는 지점일수도 있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아무리 이뻐보이는 차트라고 할지라도 순식간에 20일선을 깨고 급락함으로써 추세를 깰 수도 있습니다.

가장 이상적인 모양은 일봉에서 눌림목이 발생하고, 주봉과 월봉은 이동평균선들이 정배열 되어 있으면서 부드럽게 상승추세를 그리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일봉, 주봉, 월봉 상에서 모두 이평선의 지지를 받을 수 있게 되어 더욱 강력한 지지력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렇게 오늘은 눌림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보면 금방 수익낼 것 같고 쉬워보이지만 막상 매매에 들어가면 초보자 분들은 헤메고 손실을 볼 수 밖에 없습니다. 

 

개인투자자들이 손해보는 이유

이렇게 손해를 볼 수 있는 이유는 눌림목도 정형화된 패턴이 있는 것이 아니고 각 상황별로 너무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예측대로 주가가 흘러가기보다 돌발적인 변수들이 많아 그럴때마다 쉽게 공포감을 느끼게 되면서 뇌동매매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지만 방법은 있다!

 

 

 

 

 

 

 

 

 

 

 

 

무료로 수익전략 세워보기[클릭]

 

 

인공지능 매매도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댓글